성명/보도자료

[2.6]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구축 계획을 재검토하라

공동
Author
professornet professornet
Date
2023-02-05 23:40
Views
166

대학 지원권한 지자체 이양, 결국 정부의 역할 축소·폐기와 수도권 중심 대학 구조조정이 목적이었나?

정부가 대학지원 계획 수립 권한을 지자체에 위임하는 구체적 그림이 제시되었다. 2월1일 윤석열 정부는 금오공대에서 인재양성 전략회의 개최를 통해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계획에 따르면 지역과 대학의 공동위기 해결을 위해 지자체 주도로 지역발전과 연계하여 선택과 집중을 통해 지역대학에 투자할 수 있도록 지자체의 대학지원 권한을 확대한다는 방향이다. 이에 따라 먼저 지자체가 지역발전계획과 대학 특성화 분야 등을 고려한 실수요 기반 대학지원계획(RISE계획)을 수립하고 교육부와 RISE 협약을 체결하게 되면, 중앙부처가 지자체에 예산을 지원하고 지원을 받는 지자체에서는 전담기관을 통해 대학재정지원사업을 관리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2025년부터는 교육부 재정지원사업 예산의 50% 이상을 지역주도로 전환하고, 지역 성장과 지역균형발전을 견인할 역량있는 대학을 글로컬대학으로 선정하여 비수권지역 전체 30개 내외 대학에 5년 간 학교 당 1,000억 원씩을 집중 지원 육성한다는 것이다.

이날 발표에 이어 이주호 장관 등이 진행한 사후 브리핑에서는 ‘글로컬대학’에 선정되기를 원하는 대학은 국립대가 시립대나 도립대로 전환하거나 정부출연연구원과 통합하는 결단을 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이날 발표는 결국 지방대학에 대한 지원방안이라고 하면서 실상은 현 정부의 시장중심 대학 구조조정의 밑그림을 그린 것이라고 평가할 수밖에 없다. 우선은 국립대를 지방자치단체로 떠넘기고 국립대학에 대한 국가의 책임이나 역할을 대폭 축소 내지는 폐기하려는 의도가 여실히 드러난 점이다. 

이주호 교육부장관은 후보 당시에도 교육에 대해 자유와 자율, 경쟁의 가치를 신봉하는 시장만능주의적 관점을 가진 것이 큰 문제로 지적되었다. 이미 이명박 정부 당시 전체 대학의 15%도 되지 않는 국립대학마저도 국립대학법인이라는 기형적인 형태로 일종의 민영화를 추진함으로써 대학교육에 대한 정부의 책임을 시장에 떠 넘기려한 전력이 있다. 금 번 글로컬대학 선정이 법인화 당시와 다른 점은 국립대학을 시·도립대학으로의 전환을 통해 중앙 정부의 역할을 지자체로 떠넘김으로서 국가의 책임을 회피하는 방식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재 추진하고 있는 지자체 대학지원 권한 이양도 결국 대학의 정책·사무와 관련한 전반적인 권한과 책임을 지방정부에 떠넘기고 중앙 정부가 손을 떼기 위한 수순이 되는 것은 아닌지 강한 의구심을 갖게 한다.

선택과 집중을 통한 글로컬대학 육성은 소수의 지방대학에 대해 재정의 집중 지원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반대로 선정되지 못한 대학은 시장 경쟁에서의 도태를 의미하게 된다. 2030년 이후 학령인구가 20만 명 중후반대로 떨어지게 되는 점을 감안하면 여기에 맞춰 정부가 현재의 수도권 정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글로컬 대학 정책을 통해 지역별 거점 국립대를 비롯한 30개 대학 중심으로 재편하는 대학 구조조정의 포석을 깔고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

지방 국립대학에 대한 국가의 역할과 책임을 축소하겠다고 한다. 연구와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도권 정원조정도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이는 외면한 채로, 지방대학은 경쟁에서 살아남는 일부 대학 중심으로 지원 육성 체계를 재편하겠다고 한다. 그러면서 겉으로는 지역균형발전을 이야기하고 지방대학 시대를 열겠다고 공언한다. 

이런 이율배반도 없다. 이대로라면 정부의 주장과는 반대로 다수의 지방대학은 죽을 수밖에 없다. 반면 수도권 대학은 입학 충원률이 괜찮다는 이유만으로 연구와 교육의 질적 개선을 도외시한채로 상대적으로 더욱 더 비대해지게 된다. 정책실패에 따른 후과는 가혹할 수밖에 없다. 정부 정책의 위험성을 따져 원점에서 전면 재고해야 한다.

2023년 2월 6일

공공적 고등교육정책을 요구하는 전국교수연대회의